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‘이에요’ vs ‘이예요’ 무엇이 올바른 맞춤법일까?

by 히뚜하뚜 2025. 4. 9.

 

 

‘이에요’ vs ‘이예요’ – 맞는 표현은 무엇일까요?

한국어를 쓰면서 헷갈리기 쉬운 표현 중 하나가 바로 **‘이에요’와 ‘이예요’**입니다. 실제로 말할 때는 비슷하게 들리지만, **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은 ‘이에요’**입니다. ‘이예요’는 틀린 표현으로 국립국어원에서도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. 이 글에서는 그 이유와 함께 다양한 예시를 통해 올바른 사용법을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

✅ 1. ‘이에요’의 정체는?

‘이에요’는 서술격 조사 ‘이다’의 활용형입니다. 정중한 말투로 표현할 때 ‘이다’는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.

  • 받침이 있는 명사 + 이다이에요
  • 받침이 없는 명사 + 이다예요

즉, ‘이에요’는 받침이 있는 말 뒤에, ‘예요’는 받침이 없는 말 뒤에 붙는 것이 원칙입니다.


❌ ‘이예요’는 왜 틀렸을까?

많은 사람들이 ‘이’ + ‘예요’라고 생각해서 ‘이예요’를 쓰곤 합니다. 그러나 이것은 잘못된 분석과 잘못된 활용입니다.

‘이에요’는 이미 하나의 완성된 형태이며, ‘이’라는 조사가 따로 들어가야 할 이유가 없습니다. 예를 들어 ‘사람이예요’처럼 쓸 경우, ‘이’와 ‘예요’를 인위적으로 나눠버리는 셈이 되는데, 이건 표준어 규범에 어긋나는 표현입니다.


📌 ‘이에요’와 ‘예요’의 정확한 쓰임

받침 유무올바른 표현예시 문장
받침 있음 이에요 학생이에요, 물건이에요, 연필이에요
받침 없음 예요 사과예요, 바나나예요, 친구예요

✍️ 올바른 예문과 틀린 예문 비교

문장맞춤법 판단설명
저는 학생이에요. ‘학생’은 받침이 있으므로 ‘이에요’ 사용
이건 사과이예요. ‘이예요’는 존재하지 않음
이건 사과예요. 받침 없는 말 뒤에는 ‘예요’ 사용
그분은 선생님이예요. ‘이예요’는 틀린 표현
그분은 선생님이에요. ‘선생님’은 받침 있으므로 ‘이에요’ 사용
제 이름은 지민이예요. 틀린 표현, ‘이에요’가 맞음
제 이름은 지민이에요. 올바른 표현

🔎 헷갈리는 이유는?

많은 사람들이 ‘이’가 조사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‘이예요’가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특히 발음상으로 ‘이에요’가 ‘이예요’처럼 들리기 때문에 혼동이 생깁니다. 하지만 표준어 규정에서는 ‘이예요’는 인정되지 않으며, 오직 ‘이에요’만 올바른 표기입니다.


🧠 기억하기 쉬운 공식

  • 받침이 있다면이에요
  • 받침이 없다면예요
  • ‘이예요’는 없다!

🗣 말과 글이 다른 점

구어체에서는 ‘이에요’가 자연스럽게 ‘이예요’처럼 들리기도 합니다. 예를 들어 ‘학생이에요’는 말할 때 ‘학생이예요’로 발음되기 쉬운데, 이런 현상은 연음 현상 때문입니다. 하지만 말할 때 편하다고 해서 그렇게 쓰는 것은 문법적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

따라서 문자나 글로 표현할 때는 반드시 ‘이에요’와 ‘예요’를 구별해서 써야 합니다.


📚 관련 규정: 표준 국어 대사전 & 국립국어원 해설

국립국어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.

  • ‘이예요’는 잘못된 형태로, ‘이에요’만이 맞는 표현이다.
  • ‘이’가 조사로 오해되기 쉽지만, 여기서 ‘이에요’는 전체가 하나의 어미이다.

이러한 기준은 표준 발음법과 문법 규정에 의해 정해진 것이므로, 글쓰기나 시험, 공식 문서 작성 시 반드시 지켜야 할 부분입니다.


✨ 마무리 요약

  • ‘이에요’는 받침이 있는 말 뒤에 쓰이는 정중한 표현입니다.
  • ‘예요’는 받침이 없는 말 뒤에 씁니다.
  • ‘이예요’는 틀린 표현이므로 사용하지 않습니다.
  • 말할 때는 ‘이예요’처럼 들릴 수 있지만, 글로 쓸 땐 반드시 ‘이에요’로 써야 합니다.